BASIC THEORY기초이론

써미스터의 전도기구

  • 일반적으로 spinel 구조는 전기를 통하기 어려운 절연물에 가까운 특성을 나타내나 써미스터는 spinel 구조이면서 전기를 쉽게 통하는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데에 대한 전도기구는 명확하지 않지만 몇 가지 이론으로 설명되고 있다.

전도 기구를 구분하면

1 원자가 제어 이론

2 희석 이론

3 Hopping 이론

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.

원자가 제어 이론

  • 원자가 제어이론은 일반 단결정의 전도 이론과 같이 과잉의 전자를 결정 중에 생성시켜 원자가가 다른 원자가 들어가면 그 과잉 전자가 전기 전도를 받아 전기가 흐른다는 이론이다.
  • (1-x)Mn3O4 – xCo3O4 System
  • Mn3O4 -> Mn+2 [Mn+3 ,Mn+3 ]O4
  • Co3O4 -> Co+2 [Co+3,Co+3]O4
  • By in creasing the CO substitutioins
  • Mn+2 [Mn+3 , Mn+3]O4 -> Mn1-x+2Cox+2 [Mn+3 , Mn+3]O4 -> Co+2 [Mn+3,Mn+3]O4 Co+2 [Mn2-x+3,Cox+3]O4 Co+2 [Co+3 , Co+3]O4
  • 고온에서 음이온 부족에 의한 비화학 양론적 조성을 갖는 P형 반도체 거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

희석 이론

  • 희석 이론은 전기를 통하게 하는 Fe3O4와 흐르지 않는 spinel이 혼합되면 이 두 종류 spinel의 중간 특성값을 가져 전기 전도성을 나타낸다고 설명하고 있는 이론이다.
  • 예를 들어 설명 하면 CO3O4나 Mn3O4는 Co2+[Co3+Co3+]O4와 Mn2+[Mn3+Mn3+]O4로 normal spinel을 형성하게 되며 또한 두 산화물은 아래와 같이 상호 완전 고용 치환을 행한다.
  • Mn+2[Mn+3,Mn+3]O4 ⇒ Mn1-x+2Cox+2[Mn+3,Mn+3]O4 ⇒ Co+2[Mn+3,Mn+3]O4 ⇒ Co+2[Mn2-x+3,Cox+3]O4 ⇒ Co+2[Co+3,Co+3]O4
  • 따라서 Co의 치환량이 증가하면 Mn3+와 Mn4+이온간에 전자의 hopping 확률이 증가하여 저항은 감소한다. 또한 Mn3O4에 CuO를 첨가하면 Cu2+ 이온은 2가의 상태에서 A위치의 Mn2+이온과 치환 고용된다. 이때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Cu+ 와 같은 양의 B 위치의 Mn3+ 가 Mn4+와 서로 hopping 전도가 증가한다.
  • 즉 Cu2+XMn2+1-X[Mn3+2-xMn4+x]O4 로 됨으로써 hopping 전도가 증가하여 저항이 현저히 감소한다. 그러므로 Cu2+, Ni2+의 첨가는 원자가 제어형 이온 donor로, Co2+, Co3+의 첨가는 희석원리형 이온으로 작용함으로써 저항값과 B 정수를 변화시키게 된다. 또한 소성 온도나 분위기에 의해 서로 양이온 분포가 차이가 나서 산소 이온 결합이 존재하게 되고, 이러한 산소 결함은 양이온 원자가의 감소를 일으키게 됨으로써 써미스터의 수율, B정수 및 안정성을 변화시키므로 매우 중요하다.

Hopping 이론

  • Hopping이론은 전자가 여기( excited )되어 근접한 원자로 이동하면 전자의 이동에 의해 전기가 흐른다고 생각하는 것이다.
  • 예를 들면 Fe3O4는 Fe3O4와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갖는 Mn3O4, CO3O4에 비해 큰 전기 전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
  • Fe3O4는 먼저 spinel 구조에서 A site에 Fe3+이온이 B site에 Fe2+이온이 그리고 또한 A site에 Fe3+와 O42-이 존재 하고 있다. 여기서 전도에 기여하는 것은 B site의 양이온이고 A site의 양이온은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. 그 이유는 A site는 격자 간격이 크게 비어서 전자가 hopping하는 것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B site 에 있는 양이온만 hopping한다.
  • B site중의 Fe는 Fe2+와 Fe3+의 2가지 이온이 있고 인접한 B site의 2가 3가 이온간에서 전자의 전하 차이가 발생해 Fe3+가 Fe2+으로 Fe2+ 가 Fe3+이온으로 변화하는데 이러한 이온 전하의 변화를 hopping현상이라 하고 이 현상은 인접해 있는 이온간에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전자의 이동이 발생한다.
  • 이때 전압을 인가하면 이 전자의 흐름, 입계의 역방향으로 정돈되어 이동하므로 전류로 변화된다. 전기의 흐르기 쉬운 정도는 이 이동 전자의 donor와 acceptor로 되는 능력이 있는 이온의 수에 의하여 결정된다.
  • 주위를 산소 이온에 둘러싸여 있는 Fe3+ 이온에서 1개의 전자가 이탈되기 위해서는 최저 energy를 필요로 하므로 전도에 관여하는 전자의 에너지는 그 보다 높은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 에너지는 외부의 온도에서 얻어진다. Hopping에 필요한 최저 에너지를 활성화 에너지 ΔE, 전기 전도율을 σ로 표시 하면 위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여기에서 σo 는 무한대 온도에서의 전도율인 B site의 총수, k 는 볼쯔만 정수,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.
  • 위 식은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이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는 써미스터 특성 σ = σ∞exp (B/T)와 매우 유사한데 -ㅿE/2k=B로 하면 동일한 식이 된다. 그러므로 B정수는 재료에 의해 결정되고 활성화 에너지는 볼쯔만 정수에 비례하여 얻을 수 있는 정수이다.
  • 다음으로 써미스터의 재료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Mn-Ni계에 대해서 같은 형태의 전도기구로 설명할 수 있다. Mn3O4는 Fe3O4와 달리 전도성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Mn2+(Mn3+Mn+3)O4에 Ni을 X 만큼 첨가 했을 때 전도 기구는 2가의 Ni2+가 B site에 들어 가기 때문에 B site가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Mn3+가 Mn4+로 즉 Nix2+Mnx4+Mn1-2x3+Mn3+로 되어 3가와 4가의 Mn이 존재하게 되어 hopping 전도를 일으키게 된다. 이때 Ni 자신은 hopping에 관여하지 않고 Mn 이온의 전자를 변화 시킬 뿐이다.
  • 한편 Ni2+이온은 Mn의 B site 뿐만 아니라 A site에도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때에 spinel 구조는 MnxNi1-x(Mn2-xNix)O4 로 된다.
  • 따라서 써미스터는 결정이 있는 입자(grain)와 입자 사이에 입계(grain boundary)가 있는 결정을 이 이론에 직접 적용할 수는 없고 위 3가지 이론이 조합된 전도를 하고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